
요즘 우리는 길을 걷다가 보면 과체중의 반려견을 자주 만나게 된다. 야생에서 살고 있는 개들 중에는 비만이 없다. 개들은 사람과 살게 되면서 살이 찌고 있다. 과체중의 반려견은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을 얻을 수 있고 질병까지도 얻을 수 있다. 우리는 살찐 개들을 다시 날씬한 몸으로 돌아가서 더 질 좋은 삶을 살 수 있도록 관리하고 노력해야 한다. 나의 반려견은 비만인가? 대부분의 보호자들은 나의 개가 살찐 상태인지 모르고 있다. 나의 반려견이 살찐 상태인지 아는 보호자여도 음식을 먹을 때 불쌍한 눈빛으로 아련하게 바라보면서 침 흘리고 있는 반려견을 외면하지 못한다. 결국 보호자는 반려견에게도 간식이나 음식을 주게 된다. 여기서부터 반려견의 살찌움이 시작된다. 반려견의 종류와 성별, 크기 차이에 따라서 반려..

나의 반려견이 염소가 아닐까 생각이 들 정도로 반려견은 풀을 많이 뜯어먹는다. 처음 풀을 뜯어먹는 반려견을 발견했을 때에는 반려견이 속이 안 좋은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매일 산책할 때 매우 신나게 풀을 뜯어먹는 반려견을 보고 있다면 속이 안 좋은 것보다는 그들은 풀을 즐겨 먹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다. 나의 반려견은 왜 풀을 뜯어먹을까? 반려견이 풀을 즐겨 먹는 이유 일반적으로 반려견이 풀을 먹는 이유는 속이 안 좋아서라고 생각하지만 이러한 이유는 소수에 불과하다. 또 어떤 이유에서 반려견이 풀을 즐겨 먹는지 살펴보자. 1. 반려견의 영양소 섭취에 결핍 반려견의 식단에서 비타민, 미네랄, 영양소중에 결핍된 부분이 있을 때 이것을 충족하기 위해서 풀을 먹는다고 추측한다. 보호자가 반..

물은 사람이나 반려견의 몸에 가장 중요한 성분 중 하나이다. 사람이나 반려견이 물을 마실 수 없다면 우리의 몸은 매우 빠르게 지치고 의욕이 떨어지고 어지러움까지 느끼고 며칠 동안 물을 섭취 못할 시에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보호자는 항상 반려견이 언제든지 마실 수 있게 물그릇에 물을 준비해놓아야 한다. 반려견의 물그릇을 자주 청소해주고 자주 깨끗한 물로 갈아줘야 한다. 사람은 하루에 8컵 정도의 물을 마시면 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반려견은 하루에 얼마큼 물을 마시는 것이 좋을까? 모든 개가 다른 음수량 반려견의 평균 음수량은 kg당 60~65ml이다. 15kg의 반려견의 경우 900~975ml 정도가 된다. 하지만 반려견의 환경, 음식, 활동량, 날씨 등 많은 것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우리는 무심코 반려견에게 우리가 먹던 음식을 건네기도 한다. 아무 생각 없이 건넨 그 음식이 반려견에게는 치명적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사람에게는 안전하지만 반려견에게는 치명적인 음식들이 생각보다 많다. 그 음식들은 우리가 즐겨 먹는 것들 사이에 있기 때문에 반려견에게도 안전할 거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반려견이 피해야 할 음식의 리스트를 필수로 알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반려견의 눈에 띄지 않는 곳이나 반려견이 입이 닿지 않는 곳으로 치명적인 음식들을 꽁꽁 숨겨 놓는 것이 방법이다. 반려견의 음식의 사고는 그들이 잘못이 아니라 보호자의 잘못이다. 초콜릿 초콜릿은 반려견을 가장 많이 중독시키는 음식 중 하나이다. 초콜릿 속에 테오브로민이라는 반려견에게 치명적인 성분 때문이다. 특히..

나이가 많든 지 적든지 많은 개들이 관절염을 앓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관절염이 심해지기까지 우리에게 통증을 알리지 않고 신나게 산책하고 논다. 관절염은 특히 노견과 대형견에게서 더 많이 나타난다. 관절염은 치료방법은 아직까지는 없다. 그저 빨리 관절의 문제를 발견하고 관리해주는 것이 반려견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이다. 반려견의 관절염이란 관절염의 다른 이름 퇴행성 관절염이다. 반려견의 연골이 약해지고 닳음으로써 관절에 염증이 생기는 증상이다. 정상적인 건강한 연골은 관절이 부드럽게 움직이고 충격을 받지 않게 쿠션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관절에 지속적인 무리와 부상, 충격이 가해 지거나, 나이가 많아짐으로써 연골은 닳기 시작해서 반려견의 관절에 염증을 일으켜서 통증과 움직임에 제한을 주기 시작한다..

나의 반려견의 이빨을 유심히 관찰해 보자. 반려견의 이빨의 개수가 몇 개인지, 이빨의 모양은 어떻게 생겼는지, 반려견 이빨에 치석은 없는지, 이빨이 썩은 곳은 없는지, 잇몸이 붓거나 다친 곳은 없는지를 살펴보자. 사람은 물론 반려견의 이빨을 살아가는데 가장 중요한 곳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반려견이 음식을 씹거나 장난감을 가지고 놀거나 친구들과 놀 때도 이빨을 사용한다. 야생상태의 개들은 따로 양치질을 하지 않아도 그들이 먹는 생고기, 뼈,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씹고 먹음으로써 이빨의 치석은 제거될 수 있다. 하지만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반려견은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음식과 사람의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치석이 더 많이 생길 수 있는 환경에 살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주기적으로 아이들의 이빨과 잇몸을 살피..

우리의 반려견은 늘 냄새를 맡으면서 세상의 정보를 얻는다. 우리의 반려견은 집안에서든 집 밖에서든 눈에 보이는 거의 모든 것들을 입에 넣어보려고 한다. 그리고 우리의 반려견은 자연 속에서 몸을 비비고 강물에서 수영하는 것을 좋아한다. 이런 행동들을 하면서 우리 반려견에게는 기생충이 감염될 수가 있다. 또 어미개의 임신 중 기생충이 태반을 통과해서 감염이 가능하다 그리고 반려견이 수유를 하면서 기생충이 감염될 수 도 있다. 기생충이란 숙주의 건강을 해치면서 숙주를 먹고사는 유기체이다. 기생충은 눈에 보이는 기생충부터 반려견의 혈액 속에 존재하는 기생충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반려견 몸속의 기생충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반려견의 고통의 이유에서 기생충을 제외할 수도 있다. 하지만 기생충은 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