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기생충 구충 반려견
엄마랑 뽀뽀하는 웰시코기

우리의 반려견은 늘 냄새를 맡으면서 세상의 정보를 얻는다. 우리의 반려견은 집안에서든 집 밖에서든 눈에 보이는 거의 모든 것들을 입에 넣어보려고 한다. 그리고 우리의 반려견은 자연 속에서 몸을 비비고 강물에서 수영하는 것을 좋아한다. 이런 행동들을 하면서 우리 반려견에게는 기생충이 감염될 수가 있다. 또 어미개의 임신 중 기생충이 태반을 통과해서 감염이 가능하다  그리고 반려견이 수유를 하면서 기생충이 감염될 수 도 있다. 기생충이란 숙주의 건강을 해치면서 숙주를 먹고사는 유기체이다. 기생충은  눈에 보이는 기생충부터 반려견의 혈액 속에 존재하는 기생충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반려견 몸속의 기생충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반려견의 고통의 이유에서 기생충을 제외할 수도 있다. 하지만 기생충은 반려견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되는 부분이다. 또 반려견에 감염된 기생충은 그들과의 접촉, 그들의 배변 등에 의해서 사람에게도 감염될 수 있기에 사람과 반려견이 함께 기생충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생충에 감염된 반려견의 증상

반려견이 기생충에 감염되었다면 감염이 심해질 때까지는 특별한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초기에 발견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배변 검사를 해야 하지만 대부분의 반려견은 이 검사를 잘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보호자는 기생충 감염을 의심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려견이 장내 점막 내벽을 따라 침입해서 사는 기생충에 감염되었을 때 기생충은 내벽에 기생하면서 영양분을 섭취하기 때문에 염증반응을 일으켜 설사를 하기도 한다. 그리고 기생충이 반려견의 영양분을 훔쳐가기 때문에  영양소 흡수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영양실조나 체중감소가 일어난다. 반려견의 피부가 건조하거나 윤기가 없는 털, 반려견이 이유 없이 몸을 긁는 경우, 반려견의 배가 부풀어 오른 배불뚝이 모습의  경우, 반려견이 엉덩이를 바닥에 문지르는 경우, 반려견이 무기력하고 활동성이 떨어지는  경우 등 다양한 증상들이 있다. 보호자는 반려견의 이러한 증상들에 대해서 무심하게 넘어가지 않고 예의 주시하고 빠르게 병원으로 가서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한다.

 

반려견에게 감염될 수 있는 기생충의 종류

1. 회충

반려견에게서 발견되는 가장 흔한 기생충으로 반려견은 태어나면서 어미개로부터 옮는 경우가 많다. 모유에 있는 유충을 먹거나 강아지가 자라는 환경에서 생긴 알을 먹어서 감염된다. 또 다른 감염경로는 유충이나 알을 가지고 있는 다른 포유류를 섭취했을 때 감염된다. 회충은 반려견의 내장 속에 살지만 감염된 많은 개들이 감염 증상을 나타내지 않지만 어린 강아지일 경우에는 불룩한 배와 구토, 설사, 윤기 없는 털, 체중감소 증상을 보여준다. 간혹 회충이 폐로 이동한 경우 기침을 하는 반려견을 발견할 수도 있다. 회충의 알이나 유충이 반려견의 몸에 들어가서 성충이 되면 반려견의 토사물이나 배변에서 흰색 또는 연한 갈색의 성충을 발견할 수도 있다. 이런 반려견의 토사물이나 배변과 접촉했을 때 사람 역시 감염되어 눈, 폐, 심장 등에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회충을 예방하기 위해서 반려견의 생활공간을 깨끗이 유지하고 반려견의 대변을 잘 제거해야 한다. 또 반려견이 산책 중에 야생동물의 대변이나 야생동물을 섭취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

2. 촌충

촌충은 반려견의 내장에 붙어서 사는 길고 납작한 벌레이다. 반려견이 촌충에 감염되었을 시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지는 않으나 감염되었을 시 음식을  소화와 흡수를 잘 시키지 못해서 불편함과 식욕의 저하가 생기고 가벼운 설사와 윤기 없는 털이 나타날 수 있다. 눈에 띄는 행동으로는 엉덩이를 바닥에 비비는 행동을 할 수 있다.  촌충의 감염은 반려견의 대변 속이나 항문과 항문 주변에서 발견할 수 있는  작은 쌀알 같은 흰색 벌레를 보고서 판단할 수 있다. 촌충은 반려견이 벼룩을 먹음으로써 감염이 될 수 있고 날고기나 내장을 먹었을 경우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평소에 반려견과 사람의 생활공간에 벼룩 제거에 힘쓰고 반려견에서 익힌 고기를 제공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

3. 편충

반려견에서 발견되는 가장 흔한 기생 충중 하나로 대장과 맹장에 단단히 붙어서 기생한다. 가벼운 감염 일시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지만 기생충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맹장과 대장에 염증이 생겨서 설사와 체중 감소를 일으키고 심각한 감염 일시에는  배변에서 혈액이 보일 수 있고 빈혈도 나타날 수가 있다. 감염경로는 개 배설물이 섞여 있는 토양이나 다른 물질에 편충의 알이 섞여 있는 것을 삼켜서 감염될 수 있다. 편충의 알은 건조한 상태의 환경이 아니라면 몇 년이고 휴면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반려견을 깨끗하고 건조한 환경에서 생활하게 하며 반려견의 대변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청결하게 유지해야 편충의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4. 구충

구충은 소화기에 사는 장내 기생충이다. 구충은 장벽에 붙어서 강아지의 피를 먹기 때문에 구충의 감염은 어린 강아지들에게 빈혈을 일으키며 치명적이다. 빈혈은 구충이 소장에서 장소를 옮겨가며 피를 먹어서 내부에 상처가 나서 생긴 결과이다. 구충을 이겨낸 강아지들은 면역력이 생기기도 하지만 영양부족으로 잘 자라지 못하고 지속적인 빈혈이 나타나며 설사를 하고 체중감소가 일어날 수도 있다. 반려견이 구충에 감염되었다고 생각하면 내원해서 진단하고 치료를 해야 한다. 반려견의 구충중 일부는 사람의 피부를 관통해서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야외에서 맨발로 다니거나 반려견의 대변이 있을 수 있는 장소는 주의해서 다니는 것이 좋다. 사람의 감염은 유충이 피부로 들어가면 가려움증이 있을 수 있고 감염에 의해서 불편함을 호소할 수 있다. 구충 역시도 반려견의 주변을 깨끗하게 관리해주고 더럽거나 오염된 곳으로는 다니지 않게 방지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