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개가 간식을 받아 먹고 있다.

보호자는 밤에 깊은 잠에 들었다가 반려견이 구역질을 하는 소리에 놀라서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나의 반려견은 속이 불편하거나 어떤 다른 이유로 음식물을 게워냈을 것이다. 보호자는 토사물이 더럽게 느껴질지 모르지만 반려견의 토사물을 관찰하는 것도 중요하다. 보호자는 반려견의 토사물의 상태, 모양, 토사물의 액체의 양등을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반려견의 음식을 게워내는 행위는 구토와 역류로 나누어진다. 이 둘은 원인이 다르고 토사물의 형태도 다르기 때문이다.

역류란

역류는 음식물이 위와 장까지 가지 않고 식도에서 발생한다. 식도란 입에서 들어간 음식물이나 물을 위로 밀어내는 근육질관이다. 이곳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반려견은 음식물을 넘기지 못하고 역류시킨다. 반려견이 역류하였을 경우 역류 물질은 위에 도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거의 방금 먹은 음식과 비슷해서 무엇을 먹었는지 알아볼 수 있고 적은 양의 액체를 가지고 있다. 반려견이 역류하기 전에 그들은 구역질이나 복부의 압력을 주는 선행 신호가 없고 바로 역류시키기 때문에 보호자는 역류를 대비하지 못한다. 또 반려견의 역류는 매우 급작스럽기 때문에 숨구멍으로 통하는 구멍인 후두가 닫힐 시간이 없어서 역류 물질 일부가 폐로 흡입되어서 흡인성 폐렴에 걸릴 수도 있다. 반려견이 역류를 하는 원인은 매우 많다. 어미개나 어미 늑대가 새끼에게 음식으로 먹이기 위해서 일부로 역류하는 경우도 있다. 이 행동은 조금 더럽게 보일지도 모르지만 강아지에게 어미가 역류해준 음식물은 먹기 편하고 영양소가 많고 소화시키기 쉽다. 또 다른 원인은 거식도(Megesophagus)인 경우이다. 거식도는 반려견의 식도가 곧게 있지 않고 느슨해지는 병이다. 이경우 식도가 느슨해지고 확장된 곳에 음식물이 그대로 있다가 역류하기도 한다. 또 다른 원인으로는 근육 수축이 제대로 일어나지 못하는 병인 중증근무력증(MG)에 걸리게 되어 식도가 제대로 움직이지 못할 경우에도 반려견은 역류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반려견의 식도에 염증이 생기거나 혈관 고리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도 반려견은 역류할 수 있다.

구토란

반려견이 구토를 해서 발생한 토사물을 역류 물질과는 매우 다르다. 반려견의 토사물은 소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어서 반려견이 어떤 음식을 먹었었는지 알 수가 없다. 또 반려견의 토사물은 위나 상부 소장에서 나오기 때문에 많은 양의 액체를 포함하고 있다. 반려견의 위에서 소화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토사물 속에 섞인 담즙을 찾아볼 수 있다. 그래서 토사물은 흰색의 거품을 포함하거나 노란색, 녹색, 갈색 등을 나타낼 수도 있다. 보호자는 반려견이 구토할 경우 그들이 내는 선행 신호를 보고 반려견이 구토를 할 것이지 미리 알 수 있다. 반려견은 구토를 하기 전에 복근을 사용해서 토사물을 밖으로 내보내기 위해서 배를 꿀렁꿀렁 움직이며 구역질을 하기 시작한다. 또는 반려견은 입술을 자주 핥기도 한다. 구토는 주로 식단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반려견에게 알레르기가 있는 음식을 먹었다거나 반려견이 음식 민감성이 있다거나 또는 독소물질이나 이물질을 먹었을 경우에 구토를 한다. 그리고 반려견의 위나 장에 궤양, 염증, 폐색이 생겼을 경우에도 구토를 유발한다. 또 반려견에게 췌장에 염증이 생기거나 신장질환, 간질환 등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다. 그 외에도 반려견이 약물을 먹거나, 다른 질병에 의한 호르몬 장애로 인해서 구토를 할 수도 있다.

구토와 역류의 원인을 확인하는 검사

보호자는 반려견의 구토와 역류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이유는 역류의 원인을 확인하는 검사와 구토의 원인을 확인하는 검사는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역류는 주로 식도 문제로 인해서 일어나기 때문에 검사는 주로 식도와 위의 상태를 평가한다. 반면에 구토는 구토를 유발할 수 있는 신부전, 간질환, 췌장염과 같은 다른 질병에 대한 검사와 함께 위와 소장의 상태를 평가하는 검사를 같이 한다.

구토와 역류가 응급상황인 경우

반려견이 구토와 역류를 한 번으로 끝내고 아무렇지 않게 정상생활을 하는 경우에는 보호자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반려견이 일주일에 한 번 이상의 구토와 역류를 계속해서 한다면 보호자는 반려견을 병원으로 데려가야 한다. 또 반려견이 한 번에 너무 많은 양의 구토를 하거나 피가 섞인 구토와 설사를 하는 경우, 반려견이 먹지 말아야 할 것을 먹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빠르게 병원으로 가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구토와 역류를 겪은 반려견의 관리

반려견이 한 번만 토하고 다른 증상이 없고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 긴급한 상황이 아니라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반려견의 속을 편안하게 유지시켜주기 위해서 12~24시간 정도의 단식 시간을 가지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그리고 반려견의 탈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깨끗한 물을 준비해주고 반려견이 적은 양이라도 물을 자주 마실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반려견의 단식이 끝난 후에 반려견에게 더 이상의 구토나 역류가 없다면 삶은 닭고기와 쌀로 만든 부드러운 죽을 제공 해주어서 속을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반려견에게 부드러운 식단을 2~3일 정도 제공한 후에 천천히 정상적인 식단을 제공해서 반려견이 음식물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