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추운 겨울 따뜻하게 목도리를 하고있는 강아지

추운 겨울이 다가오면 사람은 추위를 견디기 위해서 패딩도 입고 목도리도 하고 장갑도 낀다. 우리의 반려견은 추운 겨울이 오면 복슬복슬한 털을 가졌기 때문에 추위에 강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리고 반려견이 추위에 강하다고 믿고 있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상식과 다르게 반려견의 견종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일정 온도 이하로 내려갔을 경우에 그들은 추위를 느낀다. 반려견의 보호자는 겨울이 오면 사람들이 따뜻한 옷을 차려입는 것과 같이 반려견에게도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준비를 해주어야 한다.

반려견도 체온유지가 힘든 추운 겨울

반려견은 추운 겨울에도 신이 나서 밖에서 뛰어노는 것을 좋아한다. 그렇다고 해서 반려견이 추위를 안타는 것은 전혀 아니다. 반려견의 견종에 따라서 사모예드, 시베리안 허스키, 말라뮤트, 그레이트 피레니즈 등은 추운 겨울에 강한 털을 가졌기 때문에 체온 유지가 가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짧은 털을 가진 반려견이나 소형견들은 추위에 더 약하다. 또 어린 강아지나이가 많은 노견은 체온 조절이 어려워서 낮은 온도에서 견디기가 힘들다. 반려견의 털 색상이 밝은 색상을 가진 견종은 어두운 색의 털을 가진 견종보다 햇빛을 많이 반사시키기 때문에 추위에 약할 수 있다. 또 반려견의 건강상태가 안 좋거나 마른 개일수록 추위를 더 많이 느낀다.

반려견이 춥다는 신호

반려견이 추울 때 신호는 사람이 추위를 탈때와 별반 다르지 않다. 추위를 느끼는 반려견은 온몸을 바들바들 떨 것이고 몸을 조금이라도 감싸기 위해서 꼬리를 접고 구부정한 자세를 취한다. 또 보호자에게 징징거리거나 짖음으로써 그들의 추위를 표현할 수도 있다. 또 반려견은 발이 시리기 때문에 발을 계속해서 위로 올리고 있을 것입니다. 반려견은 산책하는 동안 앞으로 나아가지 않고 계속해서 집 쪽으로 가고 싶어 할 것이다.

반려견이 저체온증과 동상에 걸렸을 때 증상

반려견에게 저체온증이 오면 반려견은 계속해서 몸을 떨고 추운 온도에 계속 노출되어 있는 근육은 경직이 된다. 또 반려견은 움직이기 힘들어지고 잇몸이 창백하게 변하며 아주 느리고 얕은 호흡을 하며 정신이 흐릿해지는 착란 증상이 올 수 있다.
반려견이 추위에 오래 노출되면 동상이 걸릴 수 있다. 동상에 걸린 피부는 매우 차갑고 창백한 피부 상태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동상에 걸린 반려견의 피부는 다음 날이나 며칠 이내로 붓거나 수포가 생기고 피부가 검게 변하고 매우 고통스러운 상태가 될 것이다. 추운 날씨에는 반려견에게 이런 증상들이 생기지 않게 보호자는 반려견의 체온 유지에 매우 많이 신경을 쓴 상태로 외출해야 할 것이다.

반려견에게 위험한 영하 온도

반려견의 견종에 따라서 그리고 반려견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영하 1도가 되면 반려견 외출 시에 체온 유지를 위해서 보호자는 반려견에게 옷을 입혀야 한다. 그리고 반려견의 산책은 오랜 시간을 하지 않고 짧게 여러 번으로 나누어서 하는 것이 좋다. 반려견이 옷을 입은 상태지만 오랫동안 추위 속에 있다면 그들은 추위를 느끼고 발에 동상이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아주 춥고 눈이 내린 날이라면 반려견에게 부츠를 신게 하는 것도 그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추운 겨울 반려견을 관리하는 방법

반려견에게 추운 겨울 보호자는 더 많은 신경을 써주어야 한다. 보호자는 반려견이 포근하고 따뜻하게 잘 수 있도록 푹신한 침대와 두꺼운 담요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또 반려견이 추위를 많이 느낀다면 실내복을 입히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 반려견이 외출을 할 때는 활동하기 편한 적당한 사이즈의 패딩이나 스웨터를 입혀서 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실외 운동장에서 놀 때는 짧게 놀고 실내에 들어와서 몸을 녹이고 다시 밖에 나가서 놀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또 겨울에는 쌓인 눈이 날카롭게 변해서 반려견의 발바닥을 다치게 할 수 있고 맨발로 다녀서 발에 동상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외출 후에는 반드시 반려견의 발을 확인해주는 것이 좋다. 또 눈 내린 길에는 염화칼슘을 많이 뿌리기 때문에 외출할 때 부츠를 신기거나 외출 시 길에 염화칼슘이 있는 지를 확인하고 반려견이 밟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반려견이 염화칼슘을 밟았을 때는 바로 집으로 돌아와서 물로 충분히 염화칼슘을 씻어내주어야 한다. 또 겨울에는 건조한 날씨로 인해서 반려견의 코나 발바닥이 갈라지기 때문에 실내에는 가습기를 틀어서 충분한 습도를 유지해주는 것이 좋다. 반려견이 외출하고 돌아온 후에는 발바닥을 잘 닦은 후에 발바닥과 코에 반려견 전용 보습제를 발라주면 좋다. 반려견이 발바닥을 핥기 때문에 반드시 반려견 전용 보습제를 사용해야 한다. 여기에 명시된 것들만 보호자가 반려견에게 해주어도 반려견은 행복한 겨울을 보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