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날씨가 추워지거나 계절이 변할 때 사람들이 흔하게 걸리는 질병 중 하나가 감기이다. 나의 반려견도 감기에 걸릴 수 있을까? 그렇다. 반려견도 감기에 걸릴 수 있고 사람과 같이 기침을 하고 콧물이 나고 재채기를 할 수가 있다. 하지만 사람의 감기는 반려견에게 옮지 않으니 걱정하지도 않아도 된다. 바이러스는 다른 종에게 옮겨가지 않는다고 한다. 나의 반려견이 감기에 걸렸을 때 그들을 어떻게 케어해줘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감기란
감기는 바이러스에 의해서 코, 목부분을 포함해서 상부 호흡기계 쪽이 감염되는 것이다. 사람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급성질환이다. 반려견 역시 감기에 걸리고 기침을 하고 콧물을 흘리며 열이 나기도 한다. 하지만 반려견을 키우는 보호자는 반려견이 감기에 걸리는 것을 한 번도 보지 못하거나 개가 어렸을 적에 한번 정도 걸린 것을 보았을 것이다. 물론 반려견이 영양분이 골고루 섭취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건강한 강아지일 경우이다.
반려견의 감기 증상
반려견이 감기에 걸렸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사람과 매우 유사하다. 감기에 걸린 반려견은 기침을 하고 콧물을 흘리며 코가 막혀서 숨을 쉬는 것이 불편하고 눈에서 눈물이 나서 젖어 있을 수 있다. 또 감기에 걸린 반려견은 평소보다 움직이는 것을 싫어하고 계속해서 쉬고 싶어 하고 잠을 자고 싶어 할 것이다. 감기가 심한 반려견인 경우 음식을 거부할 수도 있다. 얼굴이 평평한 품종의 개들은 다른 견종들보다 숨 쉬는 것을 더 힘들어하고 잠을 잘 때 코를 더 많이 골게 될 것이다. 감기가 걸렸을 때 나타나는 증상들은 가끔 다른 심각한 질병들에 의해서 발생할 수도 있다. 반려견이 특이하게 거위 같은 소리를 내면서 기침을 한다면 켄넬코프일 수도 있다. 는 감기보다 훨씬 전염성이 높은 호흡기 질환이기 때문에 반드시 병원에 방문해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그리고 켄넬코프의 강력한 전염성 때문에 다른 강아지들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 바이러스만이 기침, 재채기, 콧물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것이 아니다. 반려견이 심상사상충이나 회충 등에 감염되었을 때도 기침을 유발할 수 있고 반려견이 곰팡이에 감염되거나 알레르기가 발생되었을 때도 감기 증상이 생길 수 있다.
감기에 걸린 개를 집에서 관리하는 방법
감기가 걸린 반려견이 따뜻하게 지낼 수 있도록 집안의 온도를 올리고 반려견이 숨쉬기 편할 수 있도록 가습기를 켜서 집안의 습도를 올려주는 것이 좋다. 그리고 반려견의 속도 따뜻하고 편안할 수 있도록 따뜻하고 부드러운 음식을 제공해주는 것이 좋다. 그리고 반려견이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물을 잘 마시는지 확인하고 반려견이 물을 잘 먹지 않을 경우는 육수를 끓여서 제공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감기가 완치되기 전까지는 가벼운 산책만을 해주고 과도한 운동은 피해야 한다. 반려견이 질병과 싸우고 회복하느라 다른 때보다 더 많이 잠을 잘 수도 있다. 보호자는 반려견의 잠이 방해되지 않도록 조용한 공간을 유지해주면 좋다. 그리고 평소에 반려견이 좋아하는 장난감이나 담요 등을 소독하고 살균해서 그 물건 등에 남아있는 바이러스와 세균을 제거해주는 것이 좋다. 또 반려견의 면역력을 올리는데 도움이 되는 꿀, 코코넛 오일, 비타민 등을 추가해서 급여해주면 회복하는데 도움이 된다.
반려견의 감기예방
반려견이나 사람이나 감기는 면역력이 좋은 대상은 걸리지 않는다. 반려견이 어리거나 나이가 들거나 면역력이 낮아졌을 때 감기에 걸리게 된다. 보호자는 평소에 반려견에게 그들에게 필요한 영양소가 충분히 포함된 음식을 제공해서 면역력을 높여주어야 한다. 또 반려견이 충분한 잠을 잘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피곤한 개가 행복한 개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반려견이 충분히 산책하고 놀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는 말이다. 하지만 휴식 또한 매우 중요하다. 반려견의 몸은 잠을 자면서 몸을 재정비하고 회복하기 때문에 하루 12시간에서 14시간 정도는 잘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또 질병으로부터 반려견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백신을 접종해주는 것이 좋다. 백신은 완벽하게 질병을 예방할 수는 없지만 반려견의 몸에 질병이 걸렸을 때를 대비해서 미리 빠르게 대항할 수 있는 항체를 생성하기 때문에 많은 도움이 된다.
사람 감기약은 금물
반려견에게 사람이 먹는 감기약인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등은 반려견에게 매우 유독하다. 반려견이 감기에 걸리거나 질병에 걸린 경우는 반드시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은 후에 수의사가 처방해준 약을 먹게 해야 한다. 반려견에게 쓸 수 있는 사람 약은 그리 많지 않다. 반드시 수의사와 상담 후에 사용하여야 한다.
'반려견의 건강박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임병, 진드기가 옮긴다 (0) | 2022.11.11 |
---|---|
진드기, 강아지의 무서운 적 (0) | 2022.11.10 |
설사하는 반려견,도대체 왜그럴까? (0) | 2022.11.08 |
귓병에 유난히 잘 걸리는 반려견이 있다. (0) | 2022.11.07 |
추운 겨울은 반려견도 체온유지 하기가 힘들다 (0) | 2022.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