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사람의 눈과 개의 눈은 카메라의 렌즈와 유사하다. 외부에서 들어온 빛이 카메라의 렌즈에 해당하는 각막과 수정체를 통과해서 필름에 해당하는 망막에 영상이 맺힌다. 망막에 도달한 빛은 전기신호로 바뀌어서 시신경을 통해 우리 뇌의 시각 피질로 전달되면서 사람과 개는 세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백내장이란
카메라 렌즈에 해당하는 눈에 수정체가 어떤 원인에 의해서 뿌옇게 혼탁해지면서 시야가 흐려는 질환을 백내장이라고 한다. 수정체가 혼탁해지면 외부에서 들어온 빛이 망막에 정확하게 초점을 맺지 못하고 흩어져서 불투명한 유리를 통해서 보는 것처럼 사물을 보게 된다. 백내장이 수정체의 30% 미만을 차지하거나 한 개의 수정체에만 영향을 받은 경우에 시력저하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수정체의 불투명도가 전체렌즈의 60% 이상을 덮게 되면 뚜렷한 시각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백내장은 수정체의 불투명도에 따라서 세분화된다. 첫 번째로 초기단계이다. 백내장이 사이즈가 너무 작아서 진단을 위해 동공의 확대가 필요하고 수정체의 15% 미만을 백내장이 차지하고 있어서 시각장애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두 번째는 미성숙단계 상태이다. 백내장이 수정체의 15% 이상을 침범해서 어떤 경우에는 렌즈의 다른 층이나 다른 영역에도 침범하기도 한다. 망막은 검사 중에 볼 수 있으며 시각장애는 경미하게 일어나고 있는 상태이다. 세 번째는 성숙단계이다. 백내장이 수정체 전체를 침범하고 검사 중에 망막이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눈은 실명을 하거나 실명에 가까운 상태이다. 마지막은 초성숙 단계이다. 백내장으로 인해 수정체가 수축하기 시작해서 수정체가 주름져 보인다.
개에게 백내장이 생기는 원인
반려견에게 백내장이 생기는 가장 흔한 원인은 유전질환에 의한 선천적 백내장이다. 어미개의 뱃속에서 태아당시감염에 의해서 생기거나 원인불명인 경우가 더 많다. 반려견이 나이가 들어가면서 눈의 노화로 인해서 생길 수도 있다. 또 눈의 외상으로 인해서 포도막염이 생겨서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반려견이 자외선이나 방사선에 과하게 노출되는 경우에도 눈에 백내장이 생길 수 있다. 그리고 당뇨병이 있는 개는 이차적 질환으로 백내장이 발병하는 경우가 흔하다. 당뇨가 있는 개는 혈당이 증가되면서 눈의 수정체에 당이 축적되어서 백내장이 발생하게 된다. 이경우 백내장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심한 경우 수정체의 캡슐이 파열될 수 있다.
백내장이 생긴 개의 증상
반려견에게 백내장이 생기게 되면 반려견은 사물을 잘 보지 못해서 집안에 가구에 부딪히기 시작할 것이다. 매일 다니던 집안을 다니면서 혼란스러워하고 불안해하는 것을 보호자는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백내장으로 인해서 수정체가 혼탁해지면서 시야가 흐려지고 왜곡되는 시력 감퇴가 생기게 된다. 그러나 백내장이 진행이 많이 된 상태여도 빛의 밝고 어두움은 느낄 수가 있다. 백내장이 생긴 반려견은 빛이 있는 곳에서 눈을 가늘게 뜨거나 눈을 긁을 수도 있다. 밝은 빛을 바라볼 때 혼탁한 수정체를 통과한 빛이 산란되면서 빛이 퍼져 보이거나 눈이 부실수 있기 때문이다. 수정체에 부분적으로 혼탁이 온경우 수정체의 굴절상태가 불규칙해져서 사물이 두 개나 여러 개로 보일 수도 있다. 이 증상은 백내장이 더 진행되어서 시력이 나빠지면 사라진다. 당뇨병으로 인해서 백내장이 발생한 경우 백내장이 매우 빠르게 진행돼서 반려견은 급작스런 방향감각 상실로 인해서 매우 혼란스러워할 것이다. 그리고 백내장 염증으로 인한 통증으로 인해서 눈을 계속해서 긁을 수도 있다.
백내장을 진단하는 방법
반려견을 데리고 병원에 방문하게 되면 수의사는 백내장 증상의 첫 발견 시기와 병력 그리고 이전에 건강문제등의 정보를 물어볼 것이다. 눈과 눈 주변 구조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 신체검사를 진행한 후에 당뇨병이나 저칼슘혈증 같은 다른 질환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전체혈구수, 혈청생화학프로필, 소변검사등을 진행한다. 개의 수정체를 직접 검사할 수 있게 개의 눈에 특수조명을 비추는 세극등 생체현미경 검사를 진행하고 개의 아래 눈꺼풀 안에 작은 여과지를 넣고 여과지를 제거 후 수분함량을 테스트하여 눈물 생성량을 측정하는 쉬르머 검사를 실시한다. 백내장을 일으킬 수 있는 외상을 알아보기 위해 안구에 긁힘이나 이물질존재와 같은 각막 결함을 검사하는 Fluorescein염색으로 안구 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눈의 안압을 측정하기 위해 점안액으로 눈표면을 마비시키고 작은 펜으로 눈표면을 두드려 안압을 측정하는 Tonometry를 실행하여서 백내장을 진단한다.
백내장의 치료와 관리
수정체에 생긴 백내장을 줄이거나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그래서 백내장이 생긴 개에게는 수술만이 유일한 선택이 된다. 수술하기 전에 반려견의 눈과 건강상태를 알기 위해서 여러 가지 신체검사들을 하게 된다. 반려견에게 기저질환이 있다면 수술 전에 통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 수술 전 백내장과 관련된 눈의 염증을 조절할 수 있도록 수술 전 며칠에서 몇 주 동안 약물치료를 시작하게 된다. 백내장 수술은 혼탁해진 수정체를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해서 수정체 유화술을 사용한다. 초음파 탐침으로 수정체를 유화 또는 액화시켜서 제거하고 수정체를 대신해 콘택트렌즈와 비슷한 인공렌즈를 삽입하게 된다. 백내장 수술을 복잡하지 않기 때문에 성공률이 85~90% 정도 된다. 수술 후 반려견은 회복을 위해서 입원 후 눈을 긁지 않게 하기 위해서 넥카라를 착용하게 된다. 퇴원 후에는 보호자가 안약을 하루 2~4회 정도 투여해 주면서 눈이 완전히 치유될 때까지 차분한 환경에서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반려견의 건강박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컷 강아지 포피염 치료방법 (1) | 2023.01.06 |
---|---|
개의 눈이 뿌옇게 변할수 있는 네가지 원인 (0) | 2023.01.05 |
반려견의 녹내장, 안압의 이상 (0) | 2023.01.03 |
개의 면역매개 다발성 관절염(IMPA) (0) | 2022.12.29 |
반려견의 췌장염, 원인불명 (0) | 2022.12.28 |